목차 Babel이란? Babel의 설치 및 설정 Babel의 주요 기능 Babel의 활용 사례 Babel이란? Babel의 정의 Babel은 최신 JavaScript 문법과 기능을 구형 브라우저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변환해주는 도구이다. 이는 JavaScript의 코드가 다양한 환경에서 일관되게 작동하도록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Babel은 ES6(ECMAScript 2015) 및 그 이후의 버전에서 도입된 새로운 문법을 지원하며, 구형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한다. 사용자는 […]
목차 Webpack이란? Webpack의 설치 및 설정 Webpack 플러그인과 로더 Webpack의 최적화 Webpack이란? Webpack의 정의 Webpack은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수적인 모듈 번들러이다. 이는 여러 개의 자바스크립트 파일과 CSS, 이미지 등의 자산을 하나의 번들 파일로 결합하여 웹 페이지의 로딩 속도를 개선하고, 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Webpack은 모듈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를 모듈로 인식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
목차 Prisma란? Prisma 설치 및 설정 Prisma 데이터베이스와의 통합 Prisma 사용 사례 Prisma란? Prisma의 정의 Prisma는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단순화하고 최적화하기 위한 ORM(Object-Relational Mapping) 도구이다. 이 도구는 개발자가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할 때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 보수성을 높여준다. Prisma는 TypeScript와 JavaScript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쿼리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며, 개발자가 SQL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쿼리 언어에 대한 […]
목차 Sequelize란? Sequelize 설치 및 설정 Sequelize 모델링 Sequelize 쿼리 사용 Sequelize란? Sequelize의 정의 Sequelize는 Node.js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ORM(Object-Relational Mapping) 라이브러리이다. ORM은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객체 지향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 Sequelize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특히 SQL 기반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며, PostgreSQL, MySQL, MariaDB, SQLite, Microsoft SQL Server와 같은 여러 데이터베이스와 호환된다. […]
목차 Mongoose란? Mongoose 설치 및 설정 Mongoose의 데이터 모델링 Mongoose 쿼리 및 데이터 조작 Mongoose란? Mongoose의 개요 Mongoose는 MongoDB와 Node.js 애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상호작용을 위한 ODM(Object Data Modeling) 라이브러리이다. Mongoose를 사용하면 MongoDB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을 보다 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데이터 모델링과 유효성 검사, 쿼리 작성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라이브러리는 스키마 기반의 솔루션을 […]
목차 Passport.js란? Passport.js 설치 및 설정 인증 전략 Passport.js 사용 예제 Passport.js란? Passport.js의 개요 Passport.js는 Node.js 환경에서 인증을 구현하기 위한 미들웨어이다. 이 라이브러리는 다양한 인증 전략을 제공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Passport.js는 기본적으로 비동기 방식으로 작동하며, 이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빠르고 효율적인 사용자 인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Passport.js는 다양한 소셜 로그인 기능을 […]
목차 OAuth 2.0 개요 OAuth 2.0 작동 원리 OAuth 2.0 보안 고려사항 OAuth 2.0 구현 방법 OAuth 2.0 개요 OAuth 2.0 정의 OAuth 2.0은 웹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 간의 안전한 인증 및 인가를 위한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사용자 자원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3자 애플리케이션에 부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OAuth 2.0의 주요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의 비밀번호를 직접 […]
목차 JSON Web Token이란? JWT의 작동 원리 JWT의 장점과 단점 JWT 구현 방법 JSON Web Token이란? JWT의 정의 JSON Web Token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정보를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개방형 표준이다. JWT는 JSON 객체를 사용하여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하며, 주로 사용자 인증 및 정보 교환에 사용된다. JWT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부분은 점(.)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조는 헤더(header), […]
목차 WebAssembly란? WebAssembly의 작동 원리 WebAssembly의 사용 사례 WebAssembly의 장단점 WebAssembly란? WebAssembly의 정의 WebAssembly는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될 수 있는 새로운 바이너리 형식의 코드이다. 이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웹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WebAssembly는 특히 고성능 애플리케이션, 게임 및 데이터 처리와 같은 분야에서 큰 장점을 지닌다. […]
목차 Session Storage란? Session Storage의 사용 방법 Session Storage의 장점과 단점 Session Storage의 보안 및 제한 사항 Session Storage란? Session Storage의 정의 Session Storage는 웹 브라우저에서 세션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측 저장소이다.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열고 있는 동안에만 데이터를 유지하며, 브라우저 탭이나 창을 닫으면 해당 데이터는 사라지게 된다. Session Storage는 주로 사용자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