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에서 파비콘 등록의 중요성
목차
1. 파비콘의 역할과 중요성
파비콘은 웹사이트를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브라우저 탭과 북마크 목록에서 사이트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작은 그래픽 아이콘은 웹사이트의 브랜딩을 강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즉, 파비콘은 인터넷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표시되는 웹사이트나 웹페이지를 대표하는 아이콘입니다.
웹사이트를 대표하는 브랜딩, 신뢰성, 사용자 인지도 증가, 방문자 증가를 위해 파비콘 설정이 필요합니다.
아래 보시면 저희 사이트의 파비콘이 브라우저 탭상단 좌측에 있습니다.
2.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한 파비콘 등록
파비콘 등록은 SEO(검색 엔진 최적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검색 엔진은 파비콘이 웹사이트의 신뢰성과 전문성을 나타내는 요소로 간주하며, 파비콘이 있는 웹사이트는 검색 결과에서 우선순위를 받을 수 있습니다. 파비콘을 등록하면 검색 엔진 크롤러가 웹사이트를 더 쉽게 식별하고 색인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도 더 좋은 시각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link rel="shortcut icon" href="favicon.ico" type="image/x-icon">
<link rel="icon" href="favicon.ico" type="image/x-icon">
favicon.ico
파일은 16×16픽셀 크기의 아이콘 파일입니다. 이 파일을 웹사이트의 루트 디렉토리에 업로드한 후 위의 HTML 코드를 웹사이트의 HTML 소스 코드에 삽입하면 파비콘이 등록됩니다. 위 예제를 보시면 rel속성이 2개인데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우선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rel 우선순위] rel 속성에 아래 5가지 설정이 가능 함, 동일 rel 속성값이 여러 개일 경우 큰 파비콘 사이즈 우선
- shortcut icon
- icon
- default icon (host url + /favicon.ico)
- apple-touch-icon
- apple-touch-icon-precomposed
파비콘은 웹사이트의 주소 표시줄이나 탭에 표시되는 아이콘입니다. 파비콘을 등록하면 웹사이트의 아이덴티티를 강화하고 방문자에게 웹사이트를 더 기억에 남게 만들 수 있습니다. ◎ 파비콘 태그 작성 방법
- 파비콘 URL를 자주 변경하지 않습니다. (이미지 교체는 가능)
- 파비콘 URL과 이미지가 변경될 경우 업데이트 지연 및 검색 결과 내 파비콘 이미지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음
- 웹사이트를 표현할 수 있는 고유의 이미지를 사용 해야 함
- 음란물이나 사용자로 하여금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음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의 설명을 보시려면 다음을 읽어보세요.
3. 사례 연구와 통계
다양한 기업과 웹사이트에서 파비콘 등록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사례 연구와 통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A 사이트는 파비콘을 등록한 후 유기적인 검색 트래픽이 20% 증가했으며, B 사이트는 파비콘 등록 후 이탈률이 15% 감소했다는 통계적 자료가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 연구와 통계는 파비콘 등록이 SEO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입증합니다.
4. 요약
파비콘 등록은 SEO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파비콘은 웹사이트의 브랜딩을 강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를 더 잘 식별하고 색인화할 수 있게 합니다. 다양한 사례 연구와 통계는 파비콘 등록이 검색 엔진 최적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뒷받침합니다. 따라서, 파비콘 등록은 웹사이트 운영자들에게 권장되는 SEO 전략 중 하나입니다.
SEO에 대한 다양한 추가글 들을 읽어보세요.
- SEO와 보안서버(SSL, HTTPS) 세팅 (2023년 6월 24일)
- SEO에서 스크립트 에러체크 중요성 (2023년 6월 24일)
- SEO에서 HTML5 준수의 중요성 (2023년 6월 24일)
- SEO에서 파비콘 등록의 중요성 (2023년 6월 24일)
- Chat GPT 활용 SEO카피라이팅 서비스/솔루션 (2023년 6월 12일)
- 국내 최초 SEO최적화된 블로그 솔루션 SEOBlogØ 1.0 소개 (2023년 6월 9일)
- 검색엔진에게 내 페이지 알리기: 사이트맵 (2023년 6월 9일)
- SEO의 관문 Robots.txt 역할과 사용 방법 (2023년 6월 9일)
- 구글 네이버 애널리틱스 설치와 SEO 영향 (2023년 6월 9일)
- 구글/네이버 구조화 데이터: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한 핵심 전략 (2023년 6월 9일)
- SEO 단순 URL의 중요성 (2023년 6월 9일)
- 캐노니컬 태그 – 최적의 검색 엔진 최적화 기법 (2023년 6월 9일)
- 이미지 alt 속성 사용 시 반듯이 기억할 점은? (2023년 6월 8일)
- 2023년 최신 SEO(검색엔진최적화) 완벽가이드 (2023년 6월 7일)
- H1~H6 제목태그는 어떻게 사용해야하나요? (2023년 6월 7일)
- 검색엔진최적화의 메타태그란? (2023년 6월 7일)
- 검색엔진최적화 현지화: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을 위한 필수 전략 (2023년 6월 6일)
- ChatGpt를 검색엔진최적화(seo)에 활용해 보자!! (2023년 2월 2일)
- 테크니컬 seo 컨설팅 프로세스(절차) (2023년 1월 18일)
- SEARCH INTENT(검색의도)란 무엇인가? (2022년 11월 9일)
- 구글 네이버/웹마스터도구 사이트맵 등록하기 (2022년 3월 3일)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서치어드바이저 등록, 소유확인 방법정리 (2022년 3월 1일)
- 구글서치콘솔(GSC) 연결,등록,사용법 및 대표 도메인 선정 방법 (2022년 2월 27일)
- [콘텐츠 seo 글 작성법] 검색엔진이 좋아하는 글은 어떤 글일까요? (2021년 9월 15일)
- 홈페이지(웹사이트) 기획자가 꼭 알아야 할 콘텐츠 seo 방법은? (2021년 9월 14일)
- 콘텐츠 SEO는 어떤 프로세스로 진행하나요? (2021년 9월 14일)
- 콘텐츠seo의 핵심&연관 키워드란 무엇일까요? (2021년 9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