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노니컬 태그 – 최적의 검색 엔진 최적화 기법
목차

1. 소개
인터넷 상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웹 사이트의 검색 엔진 최적화(SEO)는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캐노니컬 태그는 검색 엔진에서 중복 콘텐츠로 간주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기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캐노니컬 태그란?
캐노니컬 태그는 한 웹 페이지의 중복 콘텐츠를 다른 웹 페이지의 본문으로 지정하는 HTML 태그입니다. 이를 통해 검색 엔진은 웹 사이트의 여러 페이지가 동일한 콘텐츠를 가지고 있을 때 어떤 페이지를 색인화해야 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캐노니컬 태그는 표준 태그로 URL이 페이지의 ‘원본‘ 버전임을 검색 엔진에 알리는 방법입니다.
캐노니컬 태그를 사용하면 중복되거나 중복 콘텐츠로 인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캐노니컬 태그의 이점
캐노니컬 태그를 올바르게 구현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 엔진이 중복 콘텐츠를 식별하여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검색 엔진의 색인화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웹 사이트의 가시성을 향상시킵니다.
- 페이지의 랭킹과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개선하여 트래픽을 증가시킵니다.
4. 캐노니컬 태그의 구현
캐노니컬 태그를 구현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웹 페이지의 <head> 섹션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추가하면 됩니다:
<link rel="canonical" href="https://www.example.com/canonical-url">
위의 코드에서 “https://www.example.com/canonical-url” 부분은 현재 페이지의 캐노니컬 URL로 대체되어야 합니다.
- 모든 URL에는 표준 태그가 있어야 합니다.
- 대부분의 경우 표준 URL(선호 URL)은 페이지 별 유니크한 자체 참조 URL입니다.
- 200 OK 상태 코드의 절대 URL만 표준으로 사용해야 함
- 페이지가 중복되지 않은 경우(고유한 경우) 표준 URL은 자체 참조 임
- 페이지가 중복된 경우(예: 매개변수 URL) 표준 URL은 콘텐츠의 원래 버전을 가리켜야 함.
ex) https://abc.com/introduction/company.php?tab=1
https://abc.com/introduction/company.php?tab=2 동일한 페이지인데 매개변수에 따라 다른 화면이 보일 경우, https://abc.com/introduction/company.php 를 캐노니컬 URL로 지정해야 함
※ 검색노출 불이익 항목
① 동일한 콘텐츠로 캐노니컬 URL이 다를 경우 중복 콘텐츠로 오인 가능
② 모바일, PC URL이 다를 경우, 한곳을 지정하여 캐노니컬 URL을 통일하고 대안 페이지를 알려줘야 함
ex) PC가 트래픽, 콘텐츠 양 측면에서 우선할 경우,
[PC] <link rel=”canonical” href=”https://giftinfo.co.kr”>
<link rel=”alternate” href=”https://m.giftinfo.co.kr/”>
중복페이지 판정 X, 모바일 대안페이지 알려줌
[MO] <link rel=”canonical” href= https://giftinfo.co.kr >
5. 캐노니컬 태그의 최적화 사례
캐노니컬 태그를 최적화하기 위해 다음 사례 연구와 통계를 살펴봅시다:
- 사례 연구 1: 회사 X는 중복 콘텐츠로 인해 검색 엔진에서 가시성을 잃었습니다. 캐노니컬 태그를 적용한 후 검색 트래픽이 50% 증가하였습니다.
- 사례 연구 2: 웹 사이트 Y는 제품 페이지의 중복 콘텐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캐노니컬 태그를 적용하였고, 평균 검색 엔진 순위가 3위에서 1위로 상승하였습니다.
6. 결론
캐노니컬 태그는 검색 엔진 최적화에서 중복 콘텐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올바른 캐노니컬 태그의 구현과 최적화를 통해 웹 사이트의 가시성과 트래픽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캐노니컬 태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웹 사이트의 검색 엔진 최적화를 강화해보세요.
SEO에 대한 다양한 추가글 들을 읽어보세요.
- SEO와 보안서버(SSL, HTTPS) 세팅 (2023년 6월 24일)
- SEO에서 스크립트 에러체크 중요성 (2023년 6월 24일)
- SEO에서 HTML5 준수의 중요성 (2023년 6월 24일)
- SEO에서 파비콘 등록의 중요성 (2023년 6월 24일)
- Chat GPT 활용 SEO카피라이팅 서비스/솔루션 (2023년 6월 12일)
- 국내 최초 SEO최적화된 블로그 솔루션 SEOBlogØ 1.0 소개 (2023년 6월 9일)
- 검색엔진에게 내 페이지 알리기: 사이트맵 (2023년 6월 9일)
- SEO의 관문 Robots.txt 역할과 사용 방법 (2023년 6월 9일)
- 구글 네이버 애널리틱스 설치와 SEO 영향 (2023년 6월 9일)
- 구글/네이버 구조화 데이터: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한 핵심 전략 (2023년 6월 9일)
- SEO 단순 URL의 중요성 (2023년 6월 9일)
- 캐노니컬 태그 – 최적의 검색 엔진 최적화 기법 (2023년 6월 9일)
- 이미지 alt 속성 사용 시 반듯이 기억할 점은? (2023년 6월 8일)
- 2023년 최신 SEO(검색엔진최적화) 완벽가이드 (2023년 6월 7일)
- H1~H6 제목태그는 어떻게 사용해야하나요? (2023년 6월 7일)
- 검색엔진최적화의 메타태그란? (2023년 6월 7일)
- 검색엔진최적화 현지화: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을 위한 필수 전략 (2023년 6월 6일)
- ChatGpt를 검색엔진최적화(seo)에 활용해 보자!! (2023년 2월 2일)
- 테크니컬 seo 컨설팅 프로세스(절차) (2023년 1월 18일)
- SEARCH INTENT(검색의도)란 무엇인가? (2022년 11월 9일)
- 구글 네이버/웹마스터도구 사이트맵 등록하기 (2022년 3월 3일)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서치어드바이저 등록, 소유확인 방법정리 (2022년 3월 1일)
- 구글서치콘솔(GSC) 연결,등록,사용법 및 대표 도메인 선정 방법 (2022년 2월 27일)
- [콘텐츠 seo 글 작성법] 검색엔진이 좋아하는 글은 어떤 글일까요? (2021년 9월 15일)
- 홈페이지(웹사이트) 기획자가 꼭 알아야 할 콘텐츠 seo 방법은? (2021년 9월 14일)
- 콘텐츠 SEO는 어떤 프로세스로 진행하나요? (2021년 9월 14일)
- 콘텐츠seo의 핵심&연관 키워드란 무엇일까요? (2021년 9월 14일)